programmers

프로그래머스 불량 사용자 java (비트마스킹, 순열, set)

socialcomputer 2022. 5. 10. 22:37
반응형

 

코딩테스트 연습 - 불량 사용자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programmers.co.kr

  • 불량 사용자
문제 설명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 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이 때 개인정보 보호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

응모자 아이디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다음과 같이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전달된 경우,

불량 사용자
fr*d*
abc1**

불량 사용자에 매핑되어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abc123
제재 아이디
fradi
abc123

이벤트 응모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user_id와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banned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몇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한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user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user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anned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user_id 배열의 크기 이하입니다.
  • banned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 가리기 위한 문자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 하나는 응모자 아이디 중 하나에 해당하고 같은 응모자 아이디가 중복해서 제재 아이디 목록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제재 아이디 목록들을 구했을 때 아이디들이 나열된 순서와 관계없이 아이디 목록의 내용이 동일하다면 같은 것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세면 됩니다.

[입출력 예]user_idbanned_idresult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abc1**"]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rodo", "*rodo", "******"]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rodo", "******", "******"] 3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입출력 예 #1

문제 설명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abc123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frodoc
입출력 예 #3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abc123
frodoc
제재 아이디
fradi
crodo
abc123
frodoc
제재 아이디
fradi
frodo
abc123
frodoc

 


두가지 방식으로 풀었다.
하나는 모든 경우를 검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pattern에 맞지 않은 경우를 처음부터 제외시키는 방법이다. 

또 두 방식 모두 비트마스킹으로 방문여부를 검사했다. 
그 이유는 중복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객체를 넣어서 비교하고 싶었지만 그러면 객체에 hashcode() equal() 메소드를 오버라이드 해야 한다. 
그래서 primitive 타입으로 중복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비트마스킹으로 방문여부를 검사하고 set에 넣었다. 
- 예를 들어 visited 가 11011로 같지만 순서가 다른 순열일 경우 중복을 제거해줄 수 있다. 
- ABCDE 가 있을때 ABDE와 ADEB가 있을때 visited는 똑같이 11011이다. 10진수로 표현하면 27이다. 

- 모든 경우 검사하기 solution2
1. user_id로 pattern길이 만큼의 순열을 만든다. 
2. 구한 순열이 pattern과 맞는 검사하기
3. 맞다면 비트마스킹으로 쓴 visited를 set에 add한다. 

- 애초에 pattern에 맞지 않는 것 제외한 순열 검사 solution1
1. 방문여부를 검사할때 패턴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제외시킨다. 
2. 패턴 길이와 같은 순열이 만들어지면 set에 visited add하기

비트마스킹으로 방문여부 표현하기

i번째에 방문여부를 구하기 : 아래에서 1이상이 나온다면 방문했다는 뜻
if( (visited & (1<<i)) > 0) contiue;​
 
 1<<5 면 10000가 되므로 오른쪽에서 5번째를 표현하고
 & 연산(AND)은 둘다 true(1) 이여야만 true(1)을 반환하므로
11011 & 10000 = 10000 > 0 으로 방문했던 곳임을 알 수있다. 


i번째에 방문했음을 추가하여 표현하기
permutate(int visited, int depth){
...
for(int i=0; i<length; i++){
...
permutate( visitd | 1<<i, depth+1);
}
...
}​

  | 연산(OR)은 둘중에 하나라도 true(1)이면 true(1)이기 때문에 
 00011 | 1<<5 의 결과는
 00011 | 10000 = 10011 이 된다. 

- 참고
비트마스킹으로, 특히 여기서 쓴 방식으로 visited를 표현하면
boolean[] 으로 표현했을때와 순서가 반대로 임을 까먹지 말자!
내가 까먹고 있었다ㅎ
아니면 1<<(length-1-i)를 하면 되겠지만 복잡하니까...
1, 2 번째 위치를 방문했을때 
boolean[] visited = {1, 1, 0, 0, 0}
int visited = 00011(2) = 3(10)

- Integer.toBinaryString(10) 
10을 이진수로 나타낸 문자열을 반환해준다.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Set set;
        public static String[] pattern;
        public int solution(String[] user_id, String[] banned_id) {
            int answer = 0;
            /**
             * 순열 만들고
             * banned패턴과 맞는 경우 visitied를 set에 넣어서
             * set.size 반환
             */
            pattern = Arrays.stream(banned_id)
                    .map(b -> b.replace("*", "."))
                    .toArray(size -> new String[size]);
            set = new HashSet();

            permutate(0, 0, user_id);

            return set.size();
        }
        public void permutate(int visited, int depth, String[] user_id){
            if(depth==pattern.length){
                set.add(visited);
                return;
            }
            for(int i=0; i<user_id.length; i++){
                if(((visited & (1<<i)) > 0) | !user_id[i].matches(pattern[depth]) ) continue;
                // 방문했던 곳이면 넘어감, 패턴과 불일치하면 넘어감(패턴도 같이 확인하는 버전)
                permutate(visited | (1<<i), depth+1, user_id);
                // visited | 1<<i 하면 i위치에 1추가됨
            }
        }
        
// --------------------------solution2---------------------------------------
        // 검사를 따로 하려면  순서를 담은 순열배열을 구하고 보내서 검사해야됨.
        // visited만 보고 검사하면 11011 일 경우 순서대로 pattern과 일치시키려 하면 순서 틀려서 set에 못담김
        // set은 visited 담는 용도, 검사는 구한 순열배열을 보고 검사하기
        public int solution2(String[] user_id, String[] banned_id){
            int answer = 0;
            pattern = Arrays.stream(banned_id)
                    .map(b -> b.replace("*", "."))
                    .toArray(size -> new String[size]);
            set = new HashSet();

            dfs(0, 0, user_id, new String[pattern.length]);
            return set.size();
        }
        public void dfs(int depth, int visited, String[] user_id, String[] result){
            if(depth==pattern.length){
                check(visited, user_id, result);
                return;
            }
            for(int i=0; i<user_id.length; i++){
                if(((visited & (1<<i)) > 0)) continue;
                result[depth] = user_id[i];
                dfs(depth+1, visited | (1<<i), user_id, result);
            }
        }
        public void check(int visited, String[] user_id, String[] result){
            // result를 패턴과 비교 후 일치하면 set에 visited 넣음(중복거르기위해)
            int depth = 0;
            for (int i = 0; i < result.length; i++) {
                if( !result[i].matches(pattern[i]) ) return;// 일치하지 않으면 종료
            }
            set.add(visited);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