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존성주입1 SpringBoot 의존성 주입 DI, 필드주입@Autowired ->생성자주입@RequriedArgsConstructor 의존성 주입을 하는 여러 방식 Spring에서 의존성을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하는 방법은 생성자 주입(lombok의 @RequiredArgsConstructor이용), 필드주입(필드 주입(@Autowired를 단 필드), 수정자주입(setter메소드에 @Autowired) 3가지 방식이 있다. 우선 의존성 주입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new연산자를 이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고, 외부에서 객체를 주입받아 생성하는 것이다. 객체 내부에 다른 객체를 생성하면 수정 시 새로 생성된 클래스도 함께 수정해야 하므로 강한 결합도를 가지고, 코드의 재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 결합도는 낮추고 응집도는 높여야 한다. ) 그러나 스프링은 @Autowired을 붙이는 필드 .. 2022. 2.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