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YAML2

springboot-개발환경 분리하기 application.yaml springboot에선 설정 파일이 yaml과 properties 파일 두 종류가 있다. 전엔 properties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yaml/yml을 사용 중이다. 둘 다 장단점이 있는데, 개인적인 사용경험을 봤을 때 계속 사용하는 설정을 기존 프로젝트에서 복사 붙여 넣기 하기엔 properies방식이 편하지만 알아보기 힘들고, yml은 현재 설정한 내용을 한눈에 보기 편해서 설정을 수정할 때 편했다. 본론은 프로젝트 진행 중에 개발환경을 때에 따라 바꾸어 설정해야 할 때가 생겨, 아예 개발환경을 분리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싶었다. 실제로 개발용과 운영용을 따로 관리한다고 한다. 실제 db를 날리면 큰일이니까... 분리 방법에는 하나의 파일에서 나누기, 여러 파일로 나누기 두 가지 방식이 있다. 1. 파.. 2022. 3. 24.
SpringBoot yaml, naver API와 연결하기 spring에서 yaml은 처음 써봤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올려두려고 한다. // application.yaml naver: url: search: local: https://openapi.naver.com/v1/search/local.json Image: https://openapi.naver.com/v1/search/image client: id: 홈페이지에서 발급 secret: 홈페이지에서 발급 server: port: 포트번호 spring: mvc: view: prefix: /WEB-INF/views/ suffix: .jsp pathmatch: matching-strategy: ANT_PATH_MATCHER // swagger 버전오류해결 부분 그리고 위의 naver 부분을 java파일에서 가져다 .. 2022. 2. 3.
반응형